
유전자 은행(gene bank)에 등록되지 않은 신종 AI(H5N8형)가 국내에서 발병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AI의 '토착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밀식사육 환경의 개선이 AI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제안한다.
■ 밀식사육 환경 바뀌어야
= '밀식사육 농장은 AI라는 화재발생 시 마른 풀섶이 된다'. 지난 3월 새정치민주연합(당시 민주당) AI특별대책위원회와 전북환경운동연합이 주최한 정책토론회에서 서울대학교 김재홍 교수는 열악한 사육환경을 이같이 비유했다.
발제자로 나선 성공회대학교 박창길 교수도 "무엇보다 유럽연합과 같이 산란계의 케이지사육(닭을 철망으로 만든 우리에 가둬 기르는 방법)을 유예기간을 둬서라도 폐기할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미국의 일부 지방자치단체들도 케이지사육을 금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5년 10월 유엔 특별조사단 역시 AI 유행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다수의 동물을 좁은 지역에 몰아넣고 기르는 축산 방법'을 지적한 바 있다. 캐나다 오타와 대학 얼 브라운(Earl Brown) 교수도 밀식사육은 AI 바이러스가 폭발적으로 발생하기 위한 이상적인 조건이라고 경고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사무처장은 "지금처럼 대규모의 밀식축산을 지지하는 정책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며 "공장식 사육을 변화시킬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AI 검사기능 지방 이양해야
= AI는 구제역과 달리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최종 확인검사를 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5차 AI가 최초 발생한 전북 부안에서 200여㎞ 떨어진 농림축산검역본부(안양)까지 폐사체를 싣고 이동해야 했다.
즉각적인 방역의 어려움은 물론 AI에 감염됐을지도 모르는 폐사체가 수백㎞를 이동하는 꼴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문인력과 바이러스가 샐 틈이 없는 완벽한 차폐시설 등을 갖춘 자치단체에 한해 최종 확인검사를 이양한다는 방침이지만 여전히 권한을 움켜쥐고 있다.
/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