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시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민간대행업체(청소용역)들이 쓰레기 발생량 증가와 무단투기로 몸살(4월28일자 8면 보도)을 앓고 있는 가운데 대행료 현실화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화성시와 청소용역업체들에 따르면 100만 특례시로 승격된 시는 지난 10년간 매년 3만명의 순 인구 유입과 제조업장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지난해 3개의 용역업체를 추가 선정, 총 15개 업체가 시 전역의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산정한 쓰레기 발생의 예상수치보다 올해 들어 신규 아파트·빌라 입주, 상가 및 공장 증가로 원가대비 인력·장비 등의 편성이 턱없이 부족해졌다.
민간업체들은 대행료보다 많은 쓰레기 발생량 증가에 따른 장비, 인력을 추가 투입하지 못해 처리에 곤욕을 치르고 있다.
화성지역 생활쓰레기 발생량은 2021년 20만2천56t에서 올해 추정치가 22만t이다. 5년새 2만t이 늘어났다. 인구도 2021년 92만명에서 2025년 106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청소차량과 인력은 2021년 147대, 424명에서 올해는 190대, 540명으로 늘어남에 따라 대행료도 현실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행원가는 2021년 409억원에서 올해는 694억원으로 책정했으나 업계는 발생량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인구증가 및 제조업체 증가 등으로 쓰레기 발생량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효과적인 수거를 위해 쓰레기발생량에 대한 지속적인 계량을 근거로 인력 장비 보강 등을 위한 예산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성/김학석기자 mar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