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양여’ 기획재정부 검토 진행중
절차 마치고 가을께 전면개방 기대
명칭변경 절차도 빠르게 진행중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이 전면 개방과 명칭 변경을 위한 행정 절차를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
전면 개방에 앞서 해결해야 할 과제인 ‘무상양여’는 기획재정부의 검토가 진행중이고, 명칭변경을 위한 서울대학교 측의 행정 절차도 빠르게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10일 서울대 농생명과학대학과 안양시 등에 따르면, 서울대 측은 안양시와 지난 2월20일 ‘관악수목원 전면 개방 및 국유재산 무상양여를 위한 협약(MOA)’을 체결(2월21일자 7면 보도) 한 이후 관련 절차를 추진중이다.
무상양여는 국유재산인 관악수목원의 전체 구역(1천550만5천여㎡)중 안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구역 일부(90만㎡)가 대상이다. 서울대가 무상양여를 받으며, 시는 이를 위한 지원에 나섰다. 서울대는 기획재정부의 승인을 받아 해당 구역을 무상양여 받는 즉시, 시와 협약에 따라 연구·교육을 위한 일부 구역(5만㎡)울 제외한 대부분의 구역을 일반에 개방할 예정이다.

서울대 측은 시와 이 같은 내용으로 MOA를 체결한 직후 곧바로 무상양여를 실현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해 왔다.
서울대 관계자는 “절차상 무상양여는 교육부를 거쳐 기재부의 검토와 승인이 이뤄져야 하며, 현재는 교육부의 검토를 마치고 지난달 기재부로 넘어가 검토가 진행중인 상황”이라며 “그동안 기재부와도 많은 협의를 진행해 왔기 때문에 기재부의 검토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기재부의 검토는 2~3개월가량 걸릴 것으로 보이며, 검토 결과 문제가 없으면 승인을 위한 행정절차만 남게 된다. 승인이 이뤄지기까지 시간을 좌우할 여러 변수가 있지만 서울대와 시는 빠르면 올 가을께 관련 절차가 이뤄져 전면 개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희귀 수목을 포함한 귀중한 수목자원들이 잘 보존돼 있는 관악수목원은 그동안 시민들에게 제한적으로 임시개방을 해 왔는데, 임시개방 때마다 수만명이 방문할 정도로 좋은 호응을 받아왔다. 올해도 지난달 19일부터 임시개방을 진행하고 있는데, 오는 11일에 이번 임시개방 기간이 끝나 시민들의 아쉬움이 크다. 이에 따라 완전한 전면개방이 이뤄지는 시기에 시민들의 관심이 쏠려 있다.
전면개방과 함께 추진되고 있는 ‘명칭 변경’도 서울대측이 관련 내부 절차를 순조롭게 진행중이다. 명칭변경은 수목원을 찾는 탐방객들의 혼란을 막고 안양지역 이미지 제고를 위해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추진해 왔는데, 변경이 이뤄지면 ‘서울대 관악수목원’은 ‘서울대 안양수목원’으로 이름이 바뀐다.
이와 관련해 서울대 관계자는 “MOA 체결 당시 올해 말까지 내부 규정 개정 등 관련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보다 빠르게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현재 농생대 내부의 심의 절차를 마치고 대학본부의 심의가 진행중이며, 심의가 마무리되면 마지막 행정적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대측은 안양시와 협약에 따라 행정절차가 마무리되는 즉시 명칭을 변경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기획재정부의 무상양여 승인이 이뤄지는 즉시 서울대와 협의해 전면개방을 위한 준비에 착수할 계획이다. 특히, 수목원 내 귀중한 수목과 산림자원의 훼손을 방지하고, 질서있고 안전한 운영을 위해 서울대측과 세밀한 부분까지 협의와 준비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대측과 오랫동안 협의하고 임시개방 등의 절차를 거쳐 어렵게 이뤄지는 전면개방인 만큼, 귀중한 산림자원을 보존하면서도 시민들의 휴식처로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최대한 준비하고 지원도 아끼기 않겠다”고 밝혔다.
안양/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