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 [영상+] ‘지역사회·이웃에 헌신’ 경인봉사대상 15명 수상 영예
    노동·복지

    [영상+] ‘지역사회·이웃에 헌신’ 경인봉사대상 15명 수상 영예 지면기사

    경인일보와 KD운송그룹이 함께하는 제43회 경인봉사대상 시상식이 5일 수원시 팔달구 경인일보사 3층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지난 1982년부터 시작된 경인봉사대상은 경기도와 인천광역시 관내에 근무하는 공무원과 농업인 가운데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주변 이웃을 위해 헌신한 이들을 격려하고자 제정됐다. 이번 경인봉사대상 수상자는 경기도의회 지방행정주사 오민경씨, 경기도 철도시설팀장 김병오씨, 인천광역시종합건설본부 도로관리부장 김재석씨, 경기도교육복지종합센터 관장 선계훈씨, 인천광역시교육청 소통협력담당관 변상호씨, 남양주남부경찰서 형사과 강력

  • [영상+] 수원 조원동 홈플러스 옥상 냉각탑 화재… 100여명 대피 1시간 추위에 떨어
    사건·사고

    [영상+] 수원 조원동 홈플러스 옥상 냉각탑 화재… 100여명 대피 1시간 추위에 떨어 지면기사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홈플러스 건물 옥상에서 불이 났다. 인명피해로 번지지는 않았으나 마트를 찾은 손님 등 100여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5일 오후 5시20분께 찾은 홈플러스 앞은 대피한 매장 직원과 고객들로 북적였다. 행인들은 매장 입구 앞 인파를 보고 가던 길을 멈추고 궁금한듯 바라봤다. 앞서 이날 오후 4시44분께 홈플러스 옥상에 있는 냉각탑에서 불이 났다. 다행히 인명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불에 놀란 직원과 손님 등 100명이 황급히 대피했다. 검은 연기가 치솟으면서 40여 건의 119 신고가 접수되기도 했다. 화

  • [화보] 수원 조원동 홈플러스 옥상 화재 발생
    포토

    [화보] 수원 조원동 홈플러스 옥상 화재 발생

  • [포토] 홍시 즐기는 물까치
    포토

    [포토] 홍시 즐기는 물까치 지면기사

  • [화보] 전국철도노조 총파업 예고… 교섭 뒤 운명은
    포토

    [화보] 전국철도노조 총파업 예고… 교섭 뒤 운명은

  • [영상+] “비상계엄, 야당 폭거에 따른 조치” 유정복 발언에… 민주당 인천시의원들 규탄
    정치·지역정가

    [영상+] “비상계엄, 야당 폭거에 따른 조치” 유정복 발언에… 민주당 인천시의원들 규탄

    더불어민주당 인천시의원들이 유정복 인천시장의 발언에 대해 “헌법질서 유린에 동조한 행위”라고 규탄했다. 민주당 시의원 12명은 4일 오후 인천시청 정문 계단에서 ‘윤석열 불법계엄 내란획책 및 동조한 유정복 시장 규탄 성명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유 시장은 지난 3일 한 언론사 기자와 전화 인터뷰에서 “(대통령의 이번 비상계엄이) 야당의 폭거에 대한 조치인데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걱정스런 부분이 있다”고 발언했다. 민주당 시의원들은 이 발언에 대해 “이번 비상계엄령은 민주주의 근간을 흔들고 시민 기본권을 심

  • [화보] 뜬금 비상계엄령에 탄핵 대자보로 맞불
    포토

    [화보] 뜬금 비상계엄령에 탄핵 대자보로 맞불

  • [화보] 윤석열 대통령 사퇴촉구 탄핵추진 비상시국대회
    포토

    [화보] 윤석열 대통령 사퇴촉구 탄핵추진 비상시국대회

  • [영상+] 국민의힘 경기도당 건물에 ‘김용현 XX’ 낙서… 경찰 수사
    사건·사고

    [영상+] 국민의힘 경기도당 건물에 ‘김용현 XX’ 낙서… 경찰 수사

    국민의힘 경기도당 건물에 김용현 국방부장관을 비방하는 낙서가 쓰여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4일 국민의힘 경기도당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50분께 신원미상의 남성이 수원시 장안구 국민의힘 경기도당 건물 외벽과 게시판 등 3곳에 빨간색 래커로 문구를 새겼다. CCTV를 통해 확인한 해당 남성은 20여분에 걸쳐 각각 ‘김용현 XX’, ‘내란’, ‘탄핵’ 문구를 적고 도주했다. 국민의힘 경기도당은 즉시 112로 해당 상황을 신고하고, 재물손괴 혐의로 해당 남성을 수사해달라는 고발장을 경찰에 정식 제출할 예정이다. 한편 앞서 이날 0시20분

  • [포토] 국회 철수 당시의 모습
    포토

    [포토] 국회 철수 당시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