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 오피니언
  • 인천
  • 경기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스포츠
  • In-Depth
  • K-스페셜

뉴스레터
로그아웃 마이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경인일보

추천 키워드

  • 제21대 대통령선거
  • 국민의힘 단일화 갈등
  • 이주노동자
  • 안성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 어린이보호구역 논란

Today PICK

  • [현장르포] ‘지역화폐 부정유통’ 단속나선 경기도

    [현장르포] ‘지역화폐 부정유통’ 단속나선 경기도

  • 전직 경기지사 간판 정책, 전국 확대되나

    전직 경기지사 간판 정책, 전국 확대되나

  • 도시발전 견인 ‘미추홀구’ [6·3대선 인천 민심 탐방]

    도시발전 견인 ‘미추홀구’ [6·3대선 인천 민심 탐방]

  • KBO리그 첫 금자탑 쌓은 SSG 랜더스 간판타자 최정

    KBO리그 첫 금자탑 쌓은 SSG 랜더스 간판타자 최정

  • [여러분 생각은?] 비정규직 교원, 정규직 전환 ‘몸살’

    [여러분 생각은?] 비정규직 교원, 정규직 전환 ‘몸살’

검색창 닫기
경인일보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아웃 마이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 오피니언
    • 사설
    • 참성단
    • 윤인수칼럼
    • 경인칼럼
    • 데스크칼럼
    • 오늘의창
    • 노트북
    • 만평
    • 만화
    • Hot Survey
    • 칼럼니스트
    • 칼럼전체
  • In-Depth
  • 뉴스
    • 인천
    • 경기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스포츠
    • 피플
  • 멀티미디어
    • 포토
    • 영상
    • 포토&스토리
  • 기획·연재
    • 경인 WIDE
    • 이슈&스토리
    K-스페셜
    • 레트로K
    • 기자들의 기억법
    • 디지털스페셜
    뉴스레터 구독패키지 에듀경인
  • 기자구독 지면보기 기사제보 구독신청
    • 신문사소개
    • 윤리강령
    • 고충처리
    • 독자위원회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디지털뉴스 이용규칙
  • Trending
    • 한덕수, 국민의힘 입당
    • 국힘 대선후보 교체
    • 전동 이동장치 화재
    • 교외선 열차 운행 확대
    • 이주노동자 보호소
    • 민주, 조희대 사퇴 요구
    • “부실수업 교수에 자퇴 고민”
    • 수원FC, 꼴찌 탈출로 분위기 반전
    • 아임프롬인천
    • ‘弗량 환율’에 쌈짓돈
    • 항일의 기억, 광복의 기쁨
    • 페이스북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 네이버
이종우

이종우 기자

ljw@kyeongin.com

지역사회부

구독 4 추천 2

공유

  • 페이스북

    페이스북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밴드

    밴드

  • 트위터

    트위터

  • URL복사

    URL복사

많이 본 기사

  • [속보] 남양주 백봉산서 산불… 강풍에 진화 난항

    [속보] 남양주 백봉산서 산불… 강풍에 진화 난항

    2025-04-07

  • 광주 한 교회서 행사 준비 중 근로자 추락사

    광주 한 교회서 행사 준비 중 근로자 추락사

    2024-12-17

  • 남양주시 330-1번 버스, 땡큐 32번으로 전환… 내달 1일부터

    남양주시 330-1번 버스, 땡큐 32번으로 전환… 내달 1일부터

    2025-02-10

  • 광주시, 43.7㎝ 폭설에 전 직원 비상소집 발령

    광주시, 43.7㎝ 폭설에 전 직원 비상소집 발령

    2024-11-28

  • 남양주시,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부지를 야생화로 물들인다

    남양주시, 경기 동북부 공공의료원 부지를 야생화로 물들인다

    2025-05-01

최신기사

  • 광주시, 2026~2027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개최를 위한 공공 체육시설 규격화 및 정비 본격 돌입
    광주

    광주시, 2026~2027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개최를 위한 공공 체육시설 규격화 및 정비 본격 돌입

    광주시는 2026~2027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개최지 선정을 앞두고 각종 대회 유치 및 개최를 위한 체육시설 정비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고 5일 밝혔다. 시는 지난 3월 광주시에서 개최된 '2024 경기도 꿈나무 축구대회'를 위해 곤지암 생활체육공원과 도척그린공원 축구장에 대한 규격확장 및 개‧보수를 실시, 18일간의 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또한, 오는 4월부터 공공 체육시설 전수 조사를 실시해 각종 대회 유치 및 준비를 위해 축구장 등 공공 체육시설 정식규격화와 개‧보수를 대대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체육시설은 각종 대회 개최뿐만 아니라 일반시민들의 여가 선용을 위한 쉼터"라며 “이번 체육시설 정비를 통해 광주시의 스포츠 인프라 수준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2024-04-05 이종우
  • 제20회 WASBE 세계관악컨퍼런스 광주, 메인공연 티켓 판매 시작
    광주

    제20회 WASBE 세계관악컨퍼런스 광주, 메인공연 티켓 판매 시작

    (재)광주시문화재단은 '2024 제20회 WASBE 세계관악컨퍼런스 광주' 행사 100일을 앞두고 메인공연 티켓판매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행사 운영을 시작한다고 5일 밝혔다. 2024 세계관악컨퍼런스는 메인공연과 강연, WYWO 프로그램, 프린지공연, 전시 등 관악과 관련한 다양한 행사들이 운영될 예정이며 그 중 메인공연은 WAS2024 제20회 WASBE 세계관악컨퍼런스 D-100BE 예술위원회 엄선한 미국, 독일, 스페인, 프랑스, 호주, 대만, 싱가폴 등 8개국 13개 팀이 참여해 행사 기간인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남한산성아트홀에서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2024 세계 관악컨퍼런스는 전 세계 청년 음악가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WASBE가 선정한 최고의 지휘자와 함께 연주를 진행하는 'WYWO(WASBE Youth Wind Orchestra)' 프로그램과 광주시 곳곳에서 연주 기회를 제공하는 프린지 공연 등 전 세계 연주자와 단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신청받아 선정을 마쳤고 관람객과 방문객들에게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마련해 준비해 왔다. 강연을 포함한 컨퍼런스 참여 등록은 접수 중이며 공연 관람만 원하는 관람객을 위한 공연 티켓은 '티켓링크'를 통해서 4월8일부터 예매 가능하다. 공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세계관악컨퍼런스 홈페이지(https://www.wasbe2024.com/ko)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광주시문화재단 WASBE 운영실 관계자는 “메인공연은 학술행사, 강연 등 관악컨퍼런스의 다른 행사들과 달리 예술가, 전문가뿐 아니라 행사를 관람하기 위해 찾아오시는 국내외 일반관람객이 참여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이라며 “2024 세계 관악컨퍼런스가 아니면 어디서도 느낄 수 없는 특별한 감동을 관람객들에게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2024-04-05 이종우
  • 광주 남한산성 벚꽃길, 드라이브 코스 일품
    광주

    광주 남한산성 벚꽃길, 드라이브 코스 일품

    수도권에서 아름다운 벚꽃을 여유롭게 볼 수 있는 숨은 명소가 있다. 바로 광주시 남한산성이다. 남한산성은 광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산성으로 1만5천여 그루의 벚꽃 나무가 있으며, 특히 남한산성 길에 있는 벚꽃길은 광주시가 1997년부터 산벚나무를 심어 조성한 길이다. 남한산성 로터리에서 북문, 서문, 수어장대, 행궁터, 남문으로 이어지는 성곽 등산코스와 동문을 지나 시원한 계곡을 따라 이어지는 도로변과 산야에서 환상적인 벚꽃의 물결을 만나게 된다. 또한 남한산성은 수어장대를 비롯해 역사의 숨결이 느껴지는 문화유적지로 자녀들의 역사교육에 으뜸이며 성곽을 따라 조성돼 있는 등산로는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유명하다. 특히 광주시 벚꽃 길은 드라이브 코스로 일품이다. 광주시는 남한산성 도립공원을 관통하는 지방도로변 8㎞와 팔당호를 따라 퇴촌면과 남종면에서 양평으로 이어지는 337번 지방도로에 심어 벚꽃길을 1997년부터 조성해 왔다. 남한산성에서 분원리까지 이어지는 드라이브 코스는 도로변의 벚꽃을 구경하기에 아주 좋으며 조용하고 번거로움이 없어 벚꽃과 팔당호를 감상하는데 제격이다. 남한산성 벚꽃 길 코스는 남한산성 관리사무소부터 남한산성면 행정복지센터까지 308번 국도를 따라 8㎞에 걸쳐 이어진다. 초입부터 산성천과 벚꽃 가로수가 조화를 이룬다. 또한 팔당호 드라이브 코스는 광주시 남종면 귀여리에서 수청리까지 337번 지방도 12㎞를 따라가다 보면 3천여 그루의 벚나무가 장관을 이루는 모습을 만날 수 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2024-04-04 이종우
  • 황명주 국힘 광주을 후보, 초월읍 ‘살맛나는 초월’ 공약 발표
    선거

    황명주 국힘 광주을 후보, 초월읍 ‘살맛나는 초월’ 공약 발표

    국민의힘 광주을 황명주 국회의원 후보가 초월읍 '살맛나는 초월' 맞춤 공약을 발표했다. 황 후보는 4일 ▲초월 역세권개발 조기 추진(용수리 권역) ▲국도 3호선 쌍동IC 진입교차로 확장 추진 ▲중부고속도로 초월 Hi-Pass T.G 설치 추진 ▲광주시 순환도로망 4구간(초월~오포) 도로 조기 착공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황 후보는 “초월읍을 위한 맞춤형 공약을 시민들께 제시했다"며 “당과 중앙 정부와 함께 초월읍의 발전을 위해 발맞춰 걷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초월이 난개발로 지난 몇 년간 성장이 멈춰 있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간선도로 조기 착공을 통해 누구나 오고 싶은 초월을 만들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이 밖에도 황 후보의 초월읍 공약으로는 ▲초월 체육문화복합센터 조속 추진 ▲산이리 소농원 조성사업 ▲쌍동지구 근린생활 체육공원 조성 ▲선동초 AI 특성화 학교 추진 ▲초월역사 안전 지하보도 개설(초월역~롯데 APT) 등이 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2024-04-04 이종우
  • 광주

    'ESG 실천 기후친화'로 경기체전 유치 준비하는 광주 지면기사

    이달중 개최지 결정… 마지막 온힘환경보호·에너지 절감에 우선 순위광주시가 '2026~2027 경기도 종합체육대회'를 친환경 경기장 운영 등 ESG 실천 기후친화적 대회로 준비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3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달 중 결정 예정인 2026~2027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유치를 위해 개최 준비부터 대회 마무리까지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감에 주안점을 둔 기후친화적 대회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ESG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요소다.이를 위해 시는 단계별 ESG 실천 계획을 수립했다. 탄소중립을 위해 개최 준비 단계에서 친환경 경기장을 운영하고 에너지 효율화 시설에 신경 썼으며, 친환경차 보급도 확대한다.시가 밝힌 기후친화적 대회 로드맵은 개회식부터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탄소배출을 줄인다. 무대 연출 또한 친환경 무대를 조성해 ESG를 실천한다.또한 전기 셔틀버스가 운영되며 친환경 대회 용품을 사용하고 일회용품은 자제한다. 폐회식에서는 사용된 현수막의 업사이클링을 추진하고 시민 플로깅 행사를 통해 환경보호에 앞장선다.특히 경기장 개·보수 시 친환경 건설자재 사용, 태양광이나 고효율 LED 등 친환경 에너지 활용 등 환경(E) 부문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아울러 관내 기업들의 1사 1종목 지원을 이끄는 '스포츠 메세나'를 추진해 지역사회 기여를 통한 사회공헌(S), 경기도·경기도 체육회와 협력으로 민·관 거버넌스 활성화를 통한 지배구조개선(G) 부문에서도 ESG 체육대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매진한다.방세환 시장은 "수도권 상수원보호구역으로서 우리 시의 깨끗한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해 지속가능한 ESG 종합체육대회의 모범이 되고자 한다"며 "1천400만 경기도민의 화합을 이끌어 내고 광주가 경기 동부권 체육 허브 도시로의 위상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시는 지난해 4월 광주시체육진흥협의회를 구성해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준비를 본격적으로 해 왔으며 범

    2024-04-03 이종우
  • 경기도종합체전 유치 박차 광주시, ESG 실천 기후친화적 대회로 준비 ‘눈길’
    광주

    경기도종합체전 유치 박차 광주시, ESG 실천 기후친화적 대회로 준비 ‘눈길’

    광주시가 2026~2027 경기도 종합체육대회를 친환경 경기장 운영 등 ESG 실천의 기후친화적 대회로 준비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3일 광주시에 따르면 4월 중 결정 예정인 2026~2027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유치를 위해 개최 준비부터 대회 마무리까지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감에 주안을 둔 기후친화적 대회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ESG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요소다. 이를 위해 시는 단계별 ESG 실천 계획을 수립했다. 탄소중립을 위해 개최 준비 단계에서 친환경 경기장을 운영하고 에너지 효율화 시설에 신경 썼으며, 친환경차 보급도 확대한다. 시가 밝힌 기후친화적 대회 로드맵은 개회식부터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탄소배출을 줄인다. 무대 연출또한 친환경 무대를 조성해 ESG를 실천한다. 대회진행 단계에서는 전기 셔틀버스가 운영되며 친환경 대회 용품을 사용하고 일회용품 사용은 자제한다. 폐회식에서는 사용된 현수막의 업사이클링을 추진하고 시민 플로깅 행사를 통해 환경보호에 앞장선다. 특히 경기장 개·보수 시 친환경 건설자재 사용, 태양광이나 고효율 LED 등 친환경 에너지 활용 등 환경(E) 부문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관내 기업들의 1사 1종목 지원을 이끄는 '스포츠 메세나'를 추진해 지역사회 기여를 통한 사회공헌(S), 경기도·경기도 체육회와 협력으로 민·관 거버넌스 활성화를 통한 지배구조개선(G) 부문에서도 ESG 체육대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매진한다. 방세환 시장은 “수도권 상수원보호구역으로서 우리시의 깨끗한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해 지속가능한 ESG 종합체육대회의 모범이 되고자 한다"며 “1천400만 경기도민의 화합을 이끌어 내고 광주가 경기 동부권 체육 허브 도시로의 위상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해 4월 광주시 체육진흥협의회를 구성해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준비를 본격적으로 준비해 왔으며, 범시민 유치 서명운동에 7만3천명이

    2024-04-03 이종우
  • 광주

    하남도 검토… 광주 '광역화장장' 자리잡나 지면기사

    건립비 국비 보조 지자체 부담 덜어市, 읍면동 설명회… 연내 입지 선정여주·이천·양평 등 참여 가능성 커4만3천여기 시설 2029년 7월 준공 광주시의 종합장사시설(공설화장장) 건립이 인근 지자체인 하남시의 참여 검토에 따라 '광역종합장사시설'로 추진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2일 광주시에 따르면 4~6월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입지 선정 공고 및 읍·면·동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이와 관련, 하남시는 지난 3월 광주시의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남시는 그동안 마루공원(장례식장·봉안당)을 활용해 2~3기 규모의 화장시설 건립을 추진했었지만 인근 천현동 주민들의 반발로 중단한 바 있다.이런 가운데 오는 12월 광주시의 종합장사시설 입지 선정 이후에는 인근 여주·이천·양평의 참여 가능성도 커져 광역장사시설 건립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광역화장시설로 추진될 경우 건립비용의 일부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어 이들 지자체들의 부담도 줄어든다.광주시는 앞서 시민 소통의 일환으로 지난해 11월16일부터 12월15일까지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설화장장(종합장사시설) 건립 설문조사'를 진행(2023년 11월16일자 9면 보도)했다. 시는 이를 토대로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입지 선정 공고 및 읍·면·동 설명회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할 계획이다.시는 주민 설명회에서 사업 취지와 시설계획, 부지선정 평가 기준, 사업대상지에 대한 지원방안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시는 주민 설명회 이후에는 5월에 입지 공개모집 신청서를 접수받고 신청지를 대상으로 현지 확인 조사를 거쳐 오는 12월 말까지 입지 선정을 마친다는 계획이다.시가 구상하는 장사시설은 10만㎡ 이상 부지에 화장로 5기(예비 2기)를 갖추고 봉안당(1만9천여기)과 자연장지(2만4천여기) 등 4만3천여기를 안장할 수 있는 규모다. 오는 2027년 7월 착공, 2029년 7월 준공이 목표다.장사시설이 들어서는 지역과 주변 지역에는 모두 100억원 한도에서 인센티브를 차등 지원하는 주민지원사업을 추진한다

    2024-04-02 이종우
  • 광주

    광주시 '사업체수 비중' 도·소매업 25.5% 최다 지면기사

    종사자 '제조업 29.3%' 가장 많아 도매 및 소매업이 광주시 전체 산업의 25.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광주시가 발표한 2023 광주시 사회조사에 따르면 2022년 광주지역 사업체 수는 4만8천726개로 2018년 2만1천306개 대비 7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이 시 전체 산업의 25.5%, 제조업 17.6%, 운수 및 창고업이 12.9%로 조사됐다.2022년 광주시 전체 종사자 수는 16만1천865명이며 2018년 대비 2만3천825명으로 17.3%가 증가했다.산업별로는 제조업 종사자 수가 29.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도매 및 소매업이 18.9%, 운수 및 창고업이 8.1%다. 특히 2018년 대비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으로 6천511명 증가한 반면 유일하게 가장 많이 감소한 산업은 제조업으로 1천305명 감소했다.2018년 대비 사업체 증가 수는 1~4명의 종사자가 근무하고 있는 곳이 2만1천658개로 전체 사업체 수의 8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사자도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9명이 근무하는 사업체의 경우 사업체가 481개 감소했으며 종사자 또한 3천929명 줄었다.한편 광주시의 도·농 복합도시 특성상 교육서비스 종사자 12.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 종사자 31.5%가 증가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2024-04-02 이종우
  • 광주 화장시설 건립… 하남시 참여 검토로 ‘광역화장시설’ 추진 주목
    광주

    광주 화장시설 건립… 하남시 참여 검토로 ‘광역화장시설’ 추진 주목

    광주시의 종합장사시설(공설화장장) 건립이 인근 지자체인 하남시의 참여 검토에 따라 '광역종합장사시설'로 추진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2일 관내에 화장시설이 없는 광주시는 4~6월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입지 선정 공고 및 읍·면·동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와 관련, 하남시는 지난 3월 광주시의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남시는 그동안 마루공원(장례식장·봉안당)을 활용해 2~3기 규모의 화장시설 건립을 추진했었지만 인근 천현동 주민들의 반발로 중단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오는 12월 광주시의 종합장사시설 입지 선정된 이후에는 인근 여주·이천·양평의 참여 가능성도 커져 광역장사시설 건립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광역화장시설로 추진될 경우 건립비용의 일부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어 이들 지자체들의 부담도 줄어든다. 광주시는 앞서 시민 소통의 일환으로 지난해 11월16일부터 12월15일까지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설화장장(종합장사시설) 건립 설문조사'를 진행(2023년 11월16일 9면 보도)했다. 시는 이를 토대로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입지 선정 공고 및 읍·면·동 설명회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할 계획이다. 시는 주민 설명회에서 사업 취지와 시설계획, 부지선정 평가 기준, 사업대상지에 대한 지원방안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시는 주민 설명회 이후에는 5월에 입지 공개모집 신청서를 접수받고 신청지를 대상으로 현지 확인 조사를 거쳐 오는 12월 말까지 입지 선정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시가 구상하는 장사시설은 10만㎡ 이상 부지에 화장로 5기(예비 2기)를 갖추고 봉안당(1만9천여기)과 자연장지(2만4천여기) 등 4만3천여기를 안장할 수 있는 규모다. 오는 2027년 7월 착공, 2029년 7월 준공이 목표다. 장사시설이 들어서는 지역과 주변 지역에는 모두 100억원 한도에서 인센티브를 차등 지원하는 주민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시가 주도적으로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할 경우 주민 반발이 우려되는 만큼 설문조사 용역결과를

    2024-04-02 이종우
  • 광주시, 2023년 목표 고용률 초과 달성… 올해 1만3천개 일자리 창출 목표
    광주

    광주시, 2023년 목표 고용률 초과 달성… 올해 1만3천개 일자리 창출 목표

    광주시는 2024년 지역 일자리 목표 공시제로 고용률 73.5%, 취업자 수 22만7천명, 일자리 1만3천813개 달성을 위한 일자리 대책을 2일 공시했다. 지역 일자리 공시제는 고용노동부의 지역 일자리 활성화 정책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목표와 대책을 수립해 지역의 주민들에게 공표하는 정책이다. 광주시의 2023년도 일자리 목표 달성 실적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고용률은 73.1%, 여성 고용률은 64.6%, 취업자 수는 22만6천명으로 당초 목표 대비 초과 달성했다. 시는 2024년도 일자리 대책을 위한 세부 계획으로 직접 일자리 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창업지원, 일자리 인프라 구축, 기타(환경, 복지 분야 등) 총 6개 분야 235개 사업에 1천80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청년부터 어르신까지 전 계층을 아우르는 1만3천813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방세환 시장은 “민선 8기 2차년도인 올해에는 양질의 일자리 비중 및 고용률과 취업률을 높여 청년부터 어르신까지 계층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로 새로운 도약의 역동적 경제도시, 광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2024-04-02 이종우
  • 처음
  • ◀
  • 61
  • 62
  • 63
  • 64
  • 65
  • ▶
  • 마지막

이슈태그

  • 제21대 대통령선거
  • 국민의힘 단일화 갈등
  • 이주노동자
  • 안성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 어린이보호구역 논란

SNS FOLLOW

  • 페이스북 페이스북
  • 유튜브 유튜브
  •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네이버 네이버
경인일보
  • 페이스북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 네이버
로그아웃 마이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오피니언
  • 사설
  • 참성단
  • 윤인수칼럼
  • 경인칼럼
  • 데스크칼럼
  • 오늘의창
  • 노트북
  • 만평
  • 만화
  • Hot Survey
  • 칼럼니스트
인천
  • 정치·지역정가
  • 경제
  • 사회
  • 문화·라이프
경기
  • 남부권
  • 중부권
  • 서부권
  • 동부권
  • 북부권
정치
  • 정치일반·행정
  • 대통령실
  • 국회·정당
  • 경기도·도의회
  • 자치·시군의회
  • 북한
  • 외교·국방
  • 선거
  • 여론조사
  • KI플러스
경제
  • 경제일반
  • 금융·주식
  • 건설·부동산
  • 교통·항공·항만
  • IT·기업
  • 생활경제
사회
  • 사회일반
  • 사건·사고
  • 법조
  • 교육
  • 노동·복지
  • 보건·헬스
  • 환경·날씨
문화
  • 문화일반
  • 공연·전시
  • 연예·영화
  • 책
  • 레저·여행
  • 요리·맛
  • 운세
  • 종교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야구
  • 축구
  • 농구 ·배구
  • 골프
피플
  • 피플일반
  • 인사
  • 부음
  • 결혼
  • 본사손님
  • 알림
기획·연재
  • 경인 WIDE
  • 이슈&스토리
멀티미디어
  • 포토
  • 영상
  • 포토&스토리
In-Depth
K-스페셜
  • 레트로K
  • 기자들의 기억법
  • 디지털스페셜
뉴스레터 구독패키지
에듀경인
기자구독 지면보기 구독신청 기사제보
  • 신문사소개
  • 윤리강령
  • 고충처리
  • 기사제보
  • 구독신청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 보호정책
  • 디지털뉴스 이용규칙
  • 그룹웨어
본사 : (16488)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99 경인일보사빌딩 | 전화 : 031-231-5114    인천본사 : (21556) 인천시 남동구 인주대로 617 용진빌딩 8층~9층 | 전화 : 032-861-3200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51587 | 등록일자 : 2017.07.17 | ISSN 2635-9596 | 발행인/편집인 : 홍정표
경인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by 경인일보 All rights reserved. 이 사업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