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새 지도자인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발표 전에 전군에 '김정은 대장 명령 1호'를 하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일각의 관측과 달리 김정은이 인민군의 지휘권(군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음을 말해 주는 한 사례이다.
그러나 정부는 이런 사실을 김정일 사망 발표 전에 파악하지 못해 대북 첩보 수집·분석체계에 허점을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한 고위 소식통은 21일 "김정은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발표 전 전군에 '김정은 대장 명령 1호'를 하달했다"면서 "이는 김정은이 군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밝혔다.
'김정은 대장 명령 1호'는 전군에 훈련을 중지하고 즉각 소속부대로 복귀하라는 내용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는 김정일 위원장의 후계자인 김정은이 인민군에 처음으로 내린 명령으로, 그가 곧 인민군 최고사령관 직위에 오를 것을 암시한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정부와 정보 당국은 김정은이 명령을 하달한 사실을 김정일 위원장 사망 발표 전에 인지하지 못했으며 발표 이후 정보분석을 통해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일각에서는 김정일 위원장이 급사하면서 김정은이 인민군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대두됐다.
북한군은 이 명령에 의해 현재 훈련을 전면 중지한 상태이며 최전방 말단 부대까지 조기를 게양하고 김정일 위원장을 추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정부, 사전 인지못해 대북 첩보수집·분석 '허점'
사망 발표전 '대장 명령 1호' 하달… 김정은, 사실상 군권 완전히 장악
입력 2011-12-21 22:39
지면 아이콘
지면
ⓘ
2011-12-22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외국 조문단 사절
2011-12-21
-
북한변화 우리부동산에 어떤영향 미칠까
2011-12-21
-
원혜영·박근혜, 국회 北조문단 파견문제 놓고 입장차 '팽팽한 대립'
2011-12-21
-
"어려울때 국론 분열 없어야"
2011-12-21
-
김정은과 중국
2011-12-21
-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은
2011-12-21
-
초당파적 협력 필요한 시기
2011-12-21
-
北 조문반대 탈북단체… 임진각 대북전단 살포
201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