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배기가스를 통해 주로 배출되는 미세먼지는 황산염·질산염·암모니아 등의 이온 성분과 금속·탄소화합물 등 유해물질로 이뤄져 있다.
기관지나 폐에 쌓인 미세먼지는 결국 코나 기도 점막에 자극을 줘 비염·중이염·기관지염·후두염·천식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또 미세먼지의 독성물질이 모세혈관에 유입되면 혈액의 점도(끈끈한 정도)가 커져 혈관을 수축시키고 심혈관계 전체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이비인후과 송재준 교수 연구팀은 표피세포에 노출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생존력이 떨어진다는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송 교수와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임기정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박무균 교수는 미세먼지에 의한 귓속 염증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표피세포에 다양한 농도에 미세먼지를 노출시켜 생존능력의 변화를 관찰했다.
연구결과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 생존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농도의 미세먼지가 최대 40배까지 염증유전물질을 만들어 귀 건강에 악영향을 끼쳤다.
중이염은 3세 이하의 어린아이들에게서 80% 가량이 한번쯤은 경험할 정도로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으로 바이러스 또는 세균감염을 포함한 선천성 기형, 이관기능 장애 등과 같은 선천적인 원인과 흡연, 오염된 공기 등으로 인한 후천적인 원인을 들 수 있다.
연구팀은 중이염은 면역조절과 귓속 점막의 염증반응도 중요 원인이지만, 미세먼지가 귓속까지 들어오며서 공기유입을 차단하고 증세를 더 악화한다고 밝혔다.
■ 미세먼지 피하기 생활수칙
1. 미세먼지 농도가 짙은 날 외출 자제, 외출시 황사용 마스크 착용
2. 외출 후 반드시 손과 발 씻기
3. 물 자주 마시기
4. 코와 입 물로 자주 헹궈주기
5. 천식 등 기관지 질환 환자 배즙, 녹차 섭취하면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