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SG의 뜻은 L-글루탐산 일나트륨(monosodium L-glutamate)의 약자다.
조미료로 사용되는 MSG는 주성분인 L-글루탐산나트륨과 화학적합성품인 첨가물을 50% 이상 함유하거나 또는 향신료(분말, 착즙 또는 추출물), 염화나트륨(식염), 전분, 포도당, 설탕, 텍스트린 중 1종 이상을 혼합, 희석한 제제다.
글루탐산나트륨에는 L형과 D형이 있으며 조미료로 맛을 내는 것은 L형이다.
복합 화학조미료로 많이 사용되는 글루탐산일나트륨 자체는 아무런 맛이 없으나, 음식이 가진 원래의 맛을 좋게 해준다.
MSG가 발견된 지는 100년이 넘었다.
1907년 키쿠나에 이케다 일본 도쿄대 물리화학과 교수는 다시마 국물과 고기에서 나는 특유의 맛에 주목했고, 이 맛을 무마미(감칠맛)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는 이 맛을 내는 물질을 분리하는 연구를 시작, 수용액에서 강한 우마미를 느낄 수 있는 글루탐산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사실 글루타민산은 1866년 독일의 화학자 칼 리트하우젠이 먼저 발견했다. 하지만 글루탐산이 독특한 맛의 성분이라는 사실은 몰랐다.
MSG는 중국에서는 웨이징(味精), 일본에서는 아지노모토(味の素), 한국에서는 미원(味元), 미풍(味豊)이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진 물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