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정육점 “손님 절반은 사용”… 카페 “매출 상관 없어 비등록”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2)]
    경기도·도의회

    정육점 “손님 절반은 사용”… 카페 “매출 상관 없어 비등록”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2)] 지면기사

    업종별 상인들 의견 분분 인센티브, 골목경제 살리는 ‘효자’ 대체로 가맹점 등록하는 분위기 대형 프랜차이즈에선 쓸수 없어 경기지역화폐가 얼어붙은 지역 경제에 훈풍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기대는 빗나갔다. 경기도내 시·군들이 설 연휴 전 앞다퉈 막대한 비용을 쏟아부었지만 인센티브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마중물’이 되지 못했다. 인센티브 상당부분은 은행 예금처럼 소비자들의 지갑에 잠들어있다. 지역화폐의 ‘수혜자’인 상인들은 어떻게 느끼고 있을까. 지난해 기준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는 도내 가맹점 수는 39만6천828개다. 경기도는 연

  • 민주당 경기도당 홍보소통위 출범… 황대호 위원장 “신속한 팩트체크”
    경기도·도의회

    민주당 경기도당 홍보소통위 출범… 황대호 위원장 “신속한 팩트체크” 지면기사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이 홍보소통위원회를 출범하고 황대호(수원3·사진) 경기도의원을 위원장으로 임명했다고 10일 밝혔다. 민주당 도당은 지난 9일 경기도의회에서 홍보소통위원회 위원장 임명과 함께 발대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김승원(수원갑) 도당위원장, 김현(안산을)·전용기(화성정) 중앙당 국민소통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민주당 도당 산하에 구성된 홍보소통위원회는 민주당과 관련한 가짜뉴스·허위사실 유포에 대응하고, 당이 추진하는 주요 정책을 도민에게 홍보하는 역할을 맡는다. 황대호 홍보소통위원회 위원장은 “가짜뉴스와 허위사실이 사회의

  • [영상+] 윤석열 대통령 나오자, 김동연 경기도지사 다시 거리로
    경기도·도의회

    [영상+] 윤석열 대통령 나오자, 김동연 경기도지사 다시 거리로 지면기사

    게릴라 1인 시위 조기 파면 목청 경기북부行 검토… 시민 마찰도 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이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연일 거리로 나서고 있다. 10일 김 지사는 퇴근 후인 오후 6시 수원역 일대에서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였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김 지사는 수원 인계동 나혜석거리와 서울 서대문구 국가수사본부 앞에서 이틀 연속 1인 시위를 진행한 바 있다. 김 지사는 이날 1인 시위에 대해 “내란 전범들이 아직도 수감돼 있는데 정작 내란 수괴는 풀려났다. 마치 개선장군처럼 정말 기가 찬 행동을

  • 커진 혜택에 충전 러시… 정작 지갑에 갇혀 빛 잃을 판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2)]
    경기도·도의회

    커진 혜택에 충전 러시… 정작 지갑에 갇혀 빛 잃을 판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2)] 지면기사

    낮잠자는 인센티브 지역 소비 진작 막연한 기대감에 각 시군들 재정난에도 예산 투입 주민들 오픈런속 조기 완판 행진 설명절 결제액 10% 하회 ‘예상밖’ 경기도민들이 지역화폐를 쓰는 이유는 단연 ‘인센티브’다. 인센티브를 10%로 가정하면 10만원을 충전하는 것만으로도 1만원의 혜택을 더 누릴 수 있다.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주체는 각 시·군이다. 시·군마다 재정난을 겪고 있지만 그럼에도 지역화폐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인센티브 지급을 이어간다. 지역화폐가 지역 소비를 진작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올 초 설

  • 민주평통 경기지역회의, 전국 최우수기관 선정
    경기도·도의회

    민주평통 경기지역회의, 전국 최우수기관 선정

    민주평통 경기지역회의 활동홍보 전국최우수 홍승표 부의장 “경기도민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활동해나갈 것” 민주평화통일 경기지역회의가 올해 상반기 활동계획을 확정하는 운영회의를 통해 지난해 자유민주평화통일 기반조성을 위한 자문회의 활동은 물론 홍보활동 전국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민주평통 경기지역회의는 10일 광주시청 순암홀에서 홍승표 부의장, 태영호 평통 사무처장, 방세환 광주시장, 허경행 광주시의회 의장, 이상원 민주평통 광주시 협의회장 등 31개 시·군 협의회장, 김희선 경기지역회의 여성위원장 등 분과 위원장 등 5

  • 경기도, 수출 초보기업 100개사 맞춤 컨설팅 지원…21일까지 모집
    경기도·도의회

    경기도, 수출 초보기업 100개사 맞춤 컨설팅 지원…21일까지 모집 지면기사

    20년 이상 경험 전담멘토 매칭 경기도가 수출 초보기업 100개사에 무역 경험이 풍부한 전담멘토를 매칭해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다. 경기도는 오는 21일까지 ‘2025년 수출 초보기업 전담멘토 지원사업’ 참여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수출경험이 부족한 도내 중소기업에 무역전문가(전담멘토)를 통해 해외마케팅 전략 수립, 바이어 발굴 등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전담멘토는 산업 전반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전문가로 구성되며 기업의 수출전반 과정에서 기업을 돕는다. 기업당 멘토 수임료는 월 55만원인데 경

  • 경기도, 농어민에 연리 1% 융자금 지원… 지원 규모 273억원
    경기도·도의회

    경기도, 농어민에 연리 1% 융자금 지원… 지원 규모 273억원

    도내 1년 이상 종사한 농어업경영체 대상 개인 최대 3억원, 법인 최대 5억원 지원 오는 28일부터 접수 경기도가 농어업인의 소득 증진과 농어가 시설 개선을 위해 연리 1%로 융자금을 지원한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의 ‘농어업 경영 시설자금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전체 지원 규모는 273억원에 달한다. 융자대상은 도내 사업장에서 1년 이상 원예, 특작, 과수, 수도작, 축산업, 수산업 등에 종사하고 있는 농어업 경영체다. 지원 분야는 경영자금과 시설자금으로 나뉜다. 경영자금은 개인 6천만원·법인 최대 2억원까지 지원

  • ‘지역화폐, 왜 안 쓰세요?’- 가맹점 부족, 생활권 따로… 디지털 취약층 ‘외면’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1)]
    경기도·도의회

    ‘지역화폐, 왜 안 쓰세요?’- 가맹점 부족, 생활권 따로… 디지털 취약층 ‘외면’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1)] 지면기사

    오프라인 가게 매출 규모 등 제약 장거리 출퇴근땐 거주지 소비 미미 어르신·시각장애인, 엄두 못내기도 ‘쓰는 사람만 쓰는 지역화폐?’ 경기지역화폐 가입자 수는 2022년 458만여명에서 지난해 694만여명까지 증가했지만 이들 모두가 지역화폐를 활발히 쓰고 있진 않다. 지역화폐를 안 쓰는 이유를 물으니, 성별·세대·직업을 막론하고 지역화폐를 잘 쓰지 않는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나뉘었다. ■ 가맹점 정보 부족 현재 경기지역화폐 가맹점은 39만여 개로 사업 초기 1만여 개에 비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특히 도는 지난해 지역화폐 가맹점

  • 1983년 ‘레츠 운동’ 뿌리… 2018년부터 급성장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1)]
    경기도·도의회

    1983년 ‘레츠 운동’ 뿌리… 2018년부터 급성장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1)] 지면기사

    ‘지역상품권’ 시작 편의성 높여 지역화폐는 특정 지역에서만 쓸 수 있는 대안 화폐다. 지역 내 소비를 활성화하자는 취지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활발하게 운용되고 있다. 활성화의 출발점은 1983년 캐나다의 마이클 린턴이 시작한 ‘레츠(LETS·Local Exchange Trading System) 운동’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 국내의 경우 1990년대 레츠 운동이 소개되면서 지역화폐 운동이 움트기 시작했다. 이후 지역 시민사회 단위에서 논의가 전개되다, 경기도에선 2000년대 들어 대형마트의 등장으로 설 곳이 좁아진 전통시장을

  • ‘지역화폐, 왜 쓰세요?’- 남녀노소 일상서 적극 활용… ‘똑똑한 소비 도구’ 자리매김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1)]
    경기도·도의회

    ‘지역화폐, 왜 쓰세요?’- 남녀노소 일상서 적극 활용… ‘똑똑한 소비 도구’ 자리매김 [경기 지역화폐 리포트·(1)] 지면기사

    주머니 사정 궁한 청년층, 인센티브 기회 활용 식당 등 생활비 절약 ‘주부들 필수템’ 아이들 학원비·가계 부담 줄여… 용돈관리 최적화 고령층에 ‘효자 노릇’ 다른 세대比 낮지만 입소문 타고 사용률 상승 정해진 행정구역 내에서만 쓸 수 있는 지역화폐는 누군가에겐 쏠쏠한 ‘잇템(꼭 있어야 하거나 갖고 싶은 아이템)’이지만 누군가의 지갑에선 긴 잠을 자고 있다. 세대·거주 지역·직업도 제각각인 경기도민들에게 지역화폐를 왜 쓰는지, 혹은 왜 안 쓰는지 그 이유를 들어봤다. ■ 2030 청년층 “미용실, 배달, 카페 다양한 곳에 쓸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