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
  • 오피니언
  • 인천
  • 경기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스포츠
  • In-Depth
  • K-스페셜

뉴스레터
로그아웃 마이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경인일보

추천 키워드

  • 제21대 대통령선거
  • 국민의힘 단일화 갈등
  • 이주노동자
  • 안성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 어린이보호구역 논란

Today PICK

  • [현장르포] ‘지역화폐 부정유통’ 단속나선 경기도

    [현장르포] ‘지역화폐 부정유통’ 단속나선 경기도

  • 전직 경기지사 간판 정책, 전국 확대되나

    전직 경기지사 간판 정책, 전국 확대되나

  • 도시발전 견인 ‘미추홀구’ [6·3대선 인천 민심 탐방]

    도시발전 견인 ‘미추홀구’ [6·3대선 인천 민심 탐방]

  • KBO리그 첫 금자탑 쌓은 SSG 랜더스 간판타자 최정

    KBO리그 첫 금자탑 쌓은 SSG 랜더스 간판타자 최정

  • [여러분 생각은?] 비정규직 교원, 정규직 전환 ‘몸살’

    [여러분 생각은?] 비정규직 교원, 정규직 전환 ‘몸살’

검색창 닫기
경인일보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아웃 마이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 오피니언
    • 사설
    • 참성단
    • 윤인수칼럼
    • 경인칼럼
    • 데스크칼럼
    • 오늘의창
    • 노트북
    • 만평
    • 만화
    • Hot Survey
    • 칼럼니스트
    • 칼럼전체
  • In-Depth
  • 뉴스
    • 인천
    • 경기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스포츠
    • 피플
  • 멀티미디어
    • 포토
    • 영상
    • 포토&스토리
  • 기획·연재
    • 경인 WIDE
    • 이슈&스토리
    K-스페셜
    • 레트로K
    • 기자들의 기억법
    • 디지털스페셜
    뉴스레터 구독패키지 에듀경인
  • 기자구독 지면보기 기사제보 구독신청
    • 신문사소개
    • 윤리강령
    • 고충처리
    • 독자위원회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디지털뉴스 이용규칙
  • Trending
    • 한덕수, 국민의힘 입당
    • 국힘 대선후보 교체
    • 전동 이동장치 화재
    • 교외선 열차 운행 확대
    • 이주노동자 보호소
    • 민주, 조희대 사퇴 요구
    • “부실수업 교수에 자퇴 고민”
    • 수원FC, 꼴찌 탈출로 분위기 반전
    • 아임프롬인천
    • ‘弗량 환율’에 쌈짓돈
    • 항일의 기억, 광복의 기쁨
    • 페이스북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 네이버
김명호

김명호 기자

boq79@kyeongin.com

경제부(인천)

구독 10 추천 5

공유

  • 페이스북

    페이스북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밴드

    밴드

  • 트위터

    트위터

  • URL복사

    URL복사

많이 본 기사

  • 유현준 테라스·에디슨 박물관… ‘송도 6공구’ 새롭게 태어난다

    유현준 테라스·에디슨 박물관… ‘송도 6공구’ 새롭게 태어난다

    2025-02-26

  • [줌인 ifez] 인천경제청 ‘4대 발전 전략’ 담은 올해 업무계획 확정

    [줌인 ifez] 인천경제청 ‘4대 발전 전략’ 담은 올해 업무계획 확정

    2025-01-19

  • 송도 3공구 G5블록 공동주택 건립안 조건부 가결

    송도 3공구 G5블록 공동주택 건립안 조건부 가결

    2025-02-09

  • 내년 하반기 완공 ‘제3연륙교’… 관광사업 축소, 테마공원으로

    내년 하반기 완공 ‘제3연륙교’… 관광사업 축소, 테마공원으로

    2024-12-22

  • 128만㎡ 부지 ‘송도랜드마크시티’ 내년 첫삽 뜬다

    128만㎡ 부지 ‘송도랜드마크시티’ 내년 첫삽 뜬다

    2025-03-24

최신기사

  • ‘인천 수출 효자’ SK인천석유화학 30억불 수출의 탑 수상
    경제

    ‘인천 수출 효자’ SK인천석유화학 30억불 수출의 탑 수상

    SK인천석유화학은 13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2023 인천무역의 날 행사에서 '3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SK인천석유화학은 지난해 공시자료 기준 전체 매출액(8조9천662억원)의 절반에 달하는 4조3천626억원을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해외 수출로 거둬들였다. 올해도 3분기 기준 전체 매출액의 51.9%인 3조8천600억원을 수출을 통해 달성했다. 1969년 국내에서 세번째로 설립된 SK인천석유화학은 LPG, 휘발유, 경유, 항공유, 선박용 중유 등 석유제품과 페트병·합성섬유의 원료가 되는 파라자일렌(PX) 등 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PX의 경우 전량 해외에 수출된다. SK인천석유화학은 기존 사업영역 외에도 폐타이어·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리사이클링, 유기성 폐자원 활용 신재생 에너지 생산, 부생수소 공급을 통한 수도권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등 그린(Green) 포트폴리오로 사업을 재편하고 있다. SK인천석유화학은 그간 규제에 막혀 속도를 내지 못했던 폐타이어를 활용한 석유제품 생산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정부의 실증특례 승인을 받은 이 사업은 폐타이어를 파쇄하거나 열분해해 얻은 정제유를 석유제품 생산에 활용하는 프로젝트다. 하루 90t, 연 3만t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플랜트도 내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SK E&S가 건립하고 있는 액화수소 플랜트는 SK인천석유화학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석유화학 제품 생산 공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수소)를 고순도(99.999%)로 정제하는 시설이다. 홍욱표 SK인천석유화학 경영지원실장은 “인천의 대표 향토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상생 경영을 지속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3-12-13 김명호
  • 포스코이앤씨 건설업계 최초 건강친화기업 인증
    경제

    포스코이앤씨 건설업계 최초 건강친화기업 인증

    포스코이앤씨는 국내 건설업계에서 처음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주관하는 '건강친화기업' 인증을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건강친화기업은 직원들이 건강관리를 적극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프로그램과 지원제도 등을 운영하는 기업에 인증을 부여하는 정책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사내 건강관련 데이터 기반의 보건관리 시스템을 활용해 근로자의 건강 현황을 관리하고 있으며 , 대사증후군 기준 등을 평가하는 맞춤형 검강케어와 금연지원 프로그램, 심리상담,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2020년부터 1만1천800여명의 임직원들이 지역 마라톤 대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스포츠 재능봉사 등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도 펼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임직원들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조직문화 개선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3-12-13 김명호
  • 영하 170℃에도 끄떡없는 '동국제강 철근'
    경제

    영하 170℃에도 끄떡없는 '동국제강 철근' 지면기사

    극저온철근 개발·상업화 성공 동국제강은 영하 170℃에서도 견딜 수 있는 극저온철근(DK-CryoFlex BAR)을 개발, 상업화했다고 12일 밝혔다.일반적인 철근은 극저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경도가 올라 절단이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진다. 동국제강이 상용화에 성공한 극저온 철근은 성분 조절 신규 합금으로 이뤄져 극저온 환경에서도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극저온철근은 극저온 내성 건축 자재 활용이 필수적인 액화천연가스(LNG, Liquid Natural Gas) 저장 시설에 주로 사용된다. 동국제강은 석탄 발전 축소와 LNG·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추세에 따라, 극저온 건축 자재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동국제강이 상용화에 나선 극저온철근은 룩셈부르크 소재 극저온 인장 시험 기관 'LIST'(Luxembur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극저온 인장 시험에 합격한 제품이다. 동국제강은 2021년 국내 최초로 극저온 철근 인장시스템을 확보했다. 이번에 상용화한 극저온철근은 동국제강 인천공장에서 생산된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극저온철근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지속해서 확대 생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동국제강 인천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극저온철근. 2023.12.12 /동국제강 제공

    2023-12-12 김명호
  • 동국제강, 영하 170℃ 견디는 ‘극저온철근’ 상용화 나선다
    경제

    동국제강, 영하 170℃ 견디는 ‘극저온철근’ 상용화 나선다

    동국제강은 영하 170℃에서도 견딜 수 있는 극저온철근(DK-CryoFlex BAR)을 개발, 상업화했다고 12일 밝혔다. 일반적인 철근은 극저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경도가 올라 절단이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진다. 동국제강이 상용화에 성공한 극저온 철근은 성분 조절 신규 합금으로 이뤄져 극저온 환경에서도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극저온철근은 극저온 내성 건축 자재 활용이 필수적인 액화천연가스(LNG, Liquid Natural Gas) 저장 시설에 주로 사용된다. 동국제강은 석탄 발전 축소와 LNG·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추세에 따라, 극저온 건축 자재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동국제강이 상용화에 나선 극저온철근은 룩셈부르크 소재 극저온 인장 시험 기관 'LIST'(Luxembur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극저온 인장 시험에 합격한 제품이다. 동국제강은 2021년 국내 최초로 극저온 철근 인장시스템을 확보했다. 이번에 상용화한 극저온철근은 동국제강 인천공장에서 생산된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극저온철근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지속해서 확대 생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3-12-12 김명호
  • 캠코 인천본부, 아동보육시설 계명원에 기부금
    피플일반

    캠코 인천본부, 아동보육시설 계명원에 기부금 지면기사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인천지역본부는 지난 8일 아동보육시설 계명원을 방문해 후원금 300만원을 전달했다고 11일 밝혔다.전달된 기부금은 계명원 아이들의 간식, 의료비 등으로 사용될 예정이다.캠코 인천지역본부는 이날 계명원의 보호종료 아동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진로·고민·취업 관련 상담도 진행했다.김동현 캠코 인천지역본부장은 "캠코는 지역사회 아동 청소년들이 더 힘차게 사회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3-12-11 김명호
  • 송도 11공구 첫 아파트 용지, 대광에이엠씨·동인개발 컨소시엄 품으로
    경제

    송도 11공구 첫 아파트 용지, 대광에이엠씨·동인개발 컨소시엄 품으로 지면기사

    iH, 7만7천여㎡ Rc2·Rc3 블록 매각 현재 매립이 진행되고 있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11공구의 첫 아파트 용지가 매각됐다.11일 iH(인천도시공사)에 따르면 송도국제도시 공동주택용지 Rc2·Rc3 블록에 대한 공개입찰 결과 대광에이엠씨 컨소시엄과 동인개발 컨소시엄이 각각 낙찰자로 선정됐다.대광에이엠씨 컨소시엄이 매입한 Rc2블록 면적은 4만2천150㎡로, 아파트 589가구 건립이 예정됐다. 낙찰금액은 1천833억1천370만원, 낙찰률은 104.1%이다.동인개발 컨소시엄은 Rc3블록 3만5천624㎡를 1천660억원에 매입했으며 낙착률은 107.1%로 집계됐다. 이곳에는 아파트 501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Rc2·Rc3블록의 건폐율은 40% 이하, 용적률 160% 이하로 잔금 납부 완료 시점인 2025년 12월 이후 본격적인 개발이 가능하다.앞서 iH는 Rc2·Rc3블록 매각을 위해 2차례나 일반경쟁입찰을 진행했으나 모두 유찰됐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경색 등 기업들의 자금 조달 여건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매입 금액을 연내 일시불로 내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입찰 참여 기업이 단 1곳도 없었다.이에 따라 iH는 조건을 대폭 완화했다. 토지 대금 납부 방식을 기존 일시납에서 2년 분할납부로 변경했으며 중도금도 3차례에 걸쳐 나눠 내도록 했다.iH 관계자는 "이번 매각 토지는 연세대 국제캠퍼스, 송도 세브란스병원예정 부지와 인접해 있어 수요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매립이 진행되고 있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11공구 일원. /경인일보DB

    2023-12-11 김명호
  • [줌인 ifez] 호남 전력 '바다 뚫고' 수도권 직접 공급
    기획·연재

    [줌인 ifez] 호남 전력 '바다 뚫고' 수도권 직접 공급 지면기사

    서해안 해저 전력 고속도로… 정부, 2036년까지 건설키로 송도·용인까지 '초고압직류송전'바이오 등 연결… 사업비 7조9천억동해안 HVDC 건설도 함께 추진대형 바이오 기업의 생산시설 신·증설 등으로 전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전력난을 해소할 수 있는 중·장기 대책이 나왔다.정부는 오는 2036년까지 호남 지역에서 원전·신재생에너지 등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직접 수도권에 공급하는 '서해안 해저 전력고속도로'를 건설하기로 했다.1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방문규 장관 주재로 최근 '제30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전력계통 혁신대책'과 '재생에너지 정책 현황 및 방향'을 논의했다.정부는 우선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등 수도권 지역 첨단산업단지 전력난 해소를 위해 호남에서 수도권으로 이어지는 해저에 초고압직류송전(HVDC)을 구축하기로 했다. 호남에서 남아도는 전력을 수도권으로 실어나를 수 있는 전력계통을 구축해 바이오·반도체 등 수도권 첨단전략산업단지에 전력을 적기 공급한다는 계획이다.정부는 이를 위해 2036년까지 서해안 HVDC를 준공하기로 했다. 서해안 HVDC는 신해남~태안~서인천(430㎞) 구간과 새만금~태안~영흥(190㎞) 구간에 설치된다. 총 사업비는 7조9천억원, 수송 능력은 8GW 규모로 2036년 완공이 목표다.정부는 HVDC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송전 시장을 민간에 개방하지 않는다는 원칙 하에 민간의 건설 참여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현재는 설계·시공 부문에만 민간이 참여했지만, 설계·시공을 포함해 용지 확보와 인허가까지 포괄하는 턴키 계약 방식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이와 함께 정부는 동해안 발전력을 수도권에 공급하는 동해안~수도권 HVDC 건설도 추진할 예정이다.이런 설비가 적기에 구축되면 지속적으로 신·증설이 진행되고 있는 인천·경기 지역의 첨단산업단지 전력 부족 현상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이 입주해 있는 송도 바이오클러스터의 경우 전력

    2023-12-10 김명호
  • 경제

    인천경제청, 송도 4공구 지식정보산단 입주 연구소 모집 지면기사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송도국제도시 지식정보산업단지 내 입주할 연구소를 공개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사업 대상지는 송도 4공구 지식정보산업단지 내 2개 필지로 면적은 1만1천11㎡이다.신청 자격은 부설 연구소나 연구개발 전담 부서를 보유한 기업이다.인천경제청은 내년 1월 24일까지 사업신청서를 접수한 뒤 사업계획을 평가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토지 매매계약을 할 방침이다.사업 참여자격, 평가방법,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인천경제청 홈페이지 공고문을 참고하면 된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3-12-10 김명호
  • 경제

    '인천경제자유구역 경관 어워드' 13개 건축디자인 선정 지면기사

    송도 세브란스병원 등 4작품 '우수'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경제자유구역 내 우수한 건축 디자인을 선정해 시상하는 '2023년 인천경제자유구역 경관 어워드'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올해 처음 열린 이번 행사에서 13개 건축 디자인이 우수 건축 디자인으로 선정됐다. 우수작은 송도 세브란스병원과 이랜드 복합개발사업 관련 건축 디자인 등 4개 작품이 선정됐다. 가작에는 롯데바이오로직스 공장시설과 청라생활문화센터 등 9개 작품이 선정됐다.평가는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인천경제자유구역 경관심의를 통과한 총 170개 설계 디자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인천경제청은 우수한 건축 디자인을 홍보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 경관아카데미'에서 이번 수상작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7월부터 송도 센트럴파크 교량경관 조명 개선사업을 추진하는 등 송도·영종·청라국제도시 경관 개선에 총력을 쏟고 있다.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경제자유구역 경관 개선에 더욱 신경쓰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3-12-10 김명호
  • 경제

    송도에 영국 케임브리지 '밀너의약연구소' 설치 지면기사

    글로벌캠퍼스내 분원 유치 추진… 내년 산자부 심의 거쳐 본계약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영국 케임브리지대 밀너 의약연구소 분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인천경제청은 송도국제도시 인천글로벌캠퍼스 내에 밀너연구소를 유치한다는 계획으로, 최근 이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 등 11명이 글로벌캠퍼스를 둘러보고 학교 관계자들과 의견을 나눴다. 인천글로벌캠퍼스는 인천시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외국대학의 경쟁력 있는 학과와 연구소들을 한데 모아 종합대학 형태를 이룬 국내 첫 교육 모델이다.밀너연구소는 현재 송도 분원 설립과 관련해 케임브리지대 내부에서 사업계획을 협의 중이다.내년 케임브리지대 본교 심의가 통과되면 산업통상자원부 심의를 거쳐 분원 설치 본계약 체결 절차를 밟게 된다.밀너연구소는 영국 케임브리지 의과대학 소속의 의약 연구소로 AI를 활용한 혁신 신약 물질 개발 등 다양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JW 중외제약 등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과 산업협력도 진행하고 있다.단일 도시 기준 세계 최대인 88만L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능력(바이오리액터 보유 규모)을 갖춘 송도에는 바이오 관련 산학연 기관 100여개가 입주해 있어 연구소 유치에 따른 시너지가 기대된다.인천경제청 관계자는 "밀너연구소 송도 분원 설립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있다"며 "밀너연구소가 송도에 입주하게 되면 바이오 분야 등에서 우수한 인적 자원 확보에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2023-12-10 김명호
  • 처음
  • ◀
  • 46
  • 47
  • 48
  • 49
  • 50
  • ▶
  • 마지막

이슈태그

  • 제21대 대통령선거
  • 국민의힘 단일화 갈등
  • 이주노동자
  • 안성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 어린이보호구역 논란

SNS FOLLOW

  • 페이스북 페이스북
  • 유튜브 유튜브
  •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네이버 네이버
경인일보
  • 페이스북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 네이버
로그아웃 마이페이지 로그인 회원가입
오피니언
  • 사설
  • 참성단
  • 윤인수칼럼
  • 경인칼럼
  • 데스크칼럼
  • 오늘의창
  • 노트북
  • 만평
  • 만화
  • Hot Survey
  • 칼럼니스트
인천
  • 정치·지역정가
  • 경제
  • 사회
  • 문화·라이프
경기
  • 남부권
  • 중부권
  • 서부권
  • 동부권
  • 북부권
정치
  • 정치일반·행정
  • 대통령실
  • 국회·정당
  • 경기도·도의회
  • 자치·시군의회
  • 북한
  • 외교·국방
  • 선거
  • 여론조사
  • KI플러스
경제
  • 경제일반
  • 금융·주식
  • 건설·부동산
  • 교통·항공·항만
  • IT·기업
  • 생활경제
사회
  • 사회일반
  • 사건·사고
  • 법조
  • 교육
  • 노동·복지
  • 보건·헬스
  • 환경·날씨
문화
  • 문화일반
  • 공연·전시
  • 연예·영화
  • 책
  • 레저·여행
  • 요리·맛
  • 운세
  • 종교
스포츠
  • 스포츠일반
  • 야구
  • 축구
  • 농구 ·배구
  • 골프
피플
  • 피플일반
  • 인사
  • 부음
  • 결혼
  • 본사손님
  • 알림
기획·연재
  • 경인 WIDE
  • 이슈&스토리
멀티미디어
  • 포토
  • 영상
  • 포토&스토리
In-Depth
K-스페셜
  • 레트로K
  • 기자들의 기억법
  • 디지털스페셜
뉴스레터 구독패키지
에듀경인
기자구독 지면보기 구독신청 기사제보
  • 신문사소개
  • 윤리강령
  • 고충처리
  • 기사제보
  • 구독신청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 보호정책
  • 디지털뉴스 이용규칙
  • 그룹웨어
본사 : (16488)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99 경인일보사빌딩 | 전화 : 031-231-5114    인천본사 : (21556) 인천시 남동구 인주대로 617 용진빌딩 8층~9층 | 전화 : 032-861-3200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기 아51587 | 등록일자 : 2017.07.17 | ISSN 2635-9596 | 발행인/편집인 : 홍정표
경인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c) by 경인일보 All rights reserved. 이 사업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