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경인칼럼]인천광역시장들의 '나쁜' 공약
    칼럼

    [경인칼럼]인천광역시장들의 '나쁜' 공약 지면기사

    지상파방송 고작 2개로 타지역에 비해 열악KBS·MBC 유치 역대 후보들 모두 실패이제는 시선을 플랫폼에서 콘텐츠로 옮기고인큐베이터·방송사업 겸하는 방법 선택해야우리나라 큰 도시의 방송생태계는 '지상파방송 + 케이블TV + IPTV + 위성방송'으로 구성된다. 수도권을 제외한 권역별 대도시의 경우 공영방송인 한국방송공사(KBS) 지역총국, 문화방송(MBC)의 계열사네트워크인 지방MBC, 그리고 SBS와 가맹사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지역민영방송이 그 지역의 지상파방송군을 이룬다. 특수목적을 띤 지역 지상파방송들도 있는데 주로 라디오 종교방송들이다. CBS, 극동방송, 가톨릭평화방송, 불교방송, 원음방송이 주요 도시에 지역국을 두고 있다. 교통방송인 TBN네트워크도 지상파방송군에 속한다. 비지상파방송으로는 케이블방송, IPTV, 위성방송이 있다. 케이블방송에는 5대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인 CJ헬로, 티브로드, 딜라이브, CMB, 현대HCN가 운영하는 각 지역 케이블방송 외에도 개별 케이블방송, 즉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가 존재한다. IPTV는 3대 통신사가 초고속인터넷망을 이용하는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를 말한다. 위성방송인 스카이라이프는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 상공 3만6천km에 떠 있는 올레1호 위성을 통해 콘텐츠를 전송한다. IPTV와 위성방송은 지역방송이 없다. 각 지역의 지상파방송과 케이블방송이 지역구 국회의원이라면 IPTV와 위성방송은 전국구 국회의원인 셈이다.부산을 살펴보자. 대표적 지상파방송으로 KBS부산방송총국과 부산MBC가 있다. 부산·경남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역민방 KNN도 존재감을 뽐낸다. 부산CBS, febc부산극동방송, CPBC부산가톨릭평화방송, BBS부산불교방송, wbs부산원음방송 등 종교방송과 TBN부산교통방송, 부산영어방송과 같은 특수방송도 지상파방송군에 속한다. 케이블방송으로는 티브로드, CJ헬로, 현대 HCN 계열의 8개사가 있다. 대구와 광주의 방송생태계도 이와 비슷하다. 대전 역시 일부 종교방송 지역국만 없을 뿐 대동소이하다. 이

  • [경인칼럼]제왕학(帝王學)
    칼럼

    [경인칼럼]제왕학(帝王學) 지면기사

    국내 대기업 후손들 화려한 학벌에 이중국적조현민 대한항공 전무도 미국 시민권 보유해외 성공한 오너들 상상 이상의 자식교육훌륭한 후계자로 키웠기에 기업 장수 누려유구한 역사의 한국 위계(位階)문화가 흔들리고 있다. 지난해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갑질의 대명사로 치부되던 피자회사 창업주가 여론의 몰매로 퇴진하더니 금년 1월에는 현직 여검사가 미투 운동에 불을 지피고 최근에는 대한항공 근로자들이 전대미문의 오너경영진 퇴진운동까지 벌이고 있는 것이다. '땅콩회항' 악몽이 가시기도 전인데 조양호 회장의 부인과 막내딸까지 패악질(?)을 해댔으니 다이아몬드수저 가족의 그릇된 선민의식에 아연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조 회장은 자식들을 잘못 가르쳤다며 또다시 머리를 숙였다. 동양의 제왕들은 자식교육에는 과도할 정도로 공을 들였는데 대표적 사례가 정관정요(貞觀政要)이다. 중국 당(唐)나라의 역사가 오긍(吳兢)이 당태종(서기 627-649)의 제위 24년 치적을 기록한 것으로 제왕학(帝王學) 교과서로 으뜸이었다. 태종 이세민은 재위기간 내내 수많은 현자(賢者)들을 중용하고 군주로서는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의 직언과 고간(苦諫)을 경청했던 걸출한 지도자로 칭송된 때문이다. 당태종의 정치철학은 유교적 민본(民本)으로 예악(禮樂), 인의(仁義), 충서(忠恕), 중용지도(中庸之道)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총 40편으로 구성된 정관정요는 역대 당나라 군주들이 애독했음은 물론 후일 송(宋), 요(遼), 금(金), 원(元), 명(明)대의 제왕들이 즐겨 읽곤 했다.국내의 제왕학은 왕민(王民)사상을 근간으로 하는 서연(書筵)이 상징적이다. 왕세자로 하여금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익히게 해서 인정(仁政)의 리더십을 쌓도록 하는 것이다. 고려 중엽에 시작한 서연은 이성계가 1392년에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설치하면서 내용과 질이 풍부해졌다. 학식과 덕망을 겸비한 정2품정8품 관료 24명이 세자교육을 전담할 정도로 태조의 후계자 교육열은 각별했다. 세자는 정해진 커리큘럼에 따라 스승인 서연관(書筵官)의 특별지도를 받는데 거의 매일 이른

  • [경인칼럼]어떤 권력구조이어야 하나
    칼럼

    [경인칼럼]어떤 권력구조이어야 하나 지면기사

    개헌 주제, 실질적 다당제 효과 나타내야어떠한 정부 형태이든 집권세력 내부견제·감시시스템 없으면 오만해지기 마련여야 개헌안에 이를 담보할 장치 안 보여권력구조의 변경이 핵심인 개헌 국민투표와 지방선거의 동시 실시는 무산됐다. 그러나 '87체제'의 변경은 대통령에게 과도하게 집중된 권력의 분산뿐만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민주화의 강화는 물론 지방분권의 확대 등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야당은 6월 개헌안 합의, 가을 개헌이라는 일정을 제시하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정치권 행태로 미루어볼 때 무망한 말이다. 일단 권력구조에서 여야의 개헌안이 충돌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4년 연임제는 야당이 내놓은 국회 선출 총리와 직선 대통령이 권력을 분점하는 사실상의 이원집정부제의 권력구조와 상호모순적이기 때문이다. 대통령제와 내각제, 이원집정부제 등 어떠한 권력구조가 돼도 각 제도가 갖는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이는 개별국가의 정치적·문화적 배경, 특히 헌정사적 특수성에 따라 달리 적용되기 때문에 어느 제도의 우위를 논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는 내각제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 때문에 정부형태의 선택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현행 헌법은 대통령제와 내각제의 불편한 동거가 필연적으로 가져올 수밖에 없는 대통령 권한 집중이라는 근본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제출한 4년 대통령 연임제에는 이러한 문제를 지양하고자 하는 고민의 흔적이 배어있지 않다. 야당이 제안한 정부형태도 대통령과 총리의 이원적 정통성(dual legitimacy)의 충돌이 가져올 수 있는 국정 교착의 근본적 한계를 안고 있다. 현실적으로 개헌 동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연내 개헌이 가능할지 여부를 떠나 개헌의 지향을 분명히 해야 한다. 민주주의는 시민들의 사회경제적 갈등이 정치 내부로 적절하게 수렴될 때 지속가능한 정치체제다. 민주주의의 핵심 원리가 대표성과 참여, 책임성인 이유이다. 시민사회 내에서의 상충하는 갈등의 수렴을 통해 사회 구성원의 이해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정당체제는 물론 어떠한 권력구조도 의미를 찾을 수

  • [경인칼럼]대전환 시대에 진입한 대한민국
    칼럼

    [경인칼럼]대전환 시대에 진입한 대한민국 지면기사

    권위 기반으로 조직된 사회규범 급속 해체4차산업혁명 세대의 통제 할 수 없는 세상남북·북미정상회담, 한반도 정세 변화 예고구성원 모두 대변혁 책임 나눠지는게 중요정체를 대기는 힘들다. 확실한 건 우리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직감이다. 격변과 전환이 일상이었던 대한민국이다. 전쟁위기설이 극성을 부려도 대수로이 여기지 않던 국민이다. 그랬던 국민들이 나라 안팎에서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의미있는 사건들에 내포된 메시지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차원 이동에 버금가는 대전환의 기운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먼저 규범의 전환이다. 권위를 기반으로 조직된 사회의 규범이 급속히 해체되는 중이다. 권위가 권위로 대체되던 권위 순환의 고리가 끊어질 찰나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시발이었다. 정상적인 선출권력의 권위가 시중의 조롱거리로 전락해 무너졌다. '미투'가 뒤를 이었다. 고은, 이윤택. 오래 묵은 문화권력의 권위도 수렁에 빠졌다. 안희정, 정봉주. 진보권력 권위의 일각이 무너졌다. 대한항공 직원 1천여명은 SNS결사체를 만들어 그룹 총수 일가의 비리, 추행을 샅샅이 뒤지고 있다. 권위의 해체가 일상이 되고 크고 작은 권력의 붕괴가 속출하고 있다.저차원 대 고차원이 대립한 결과다. 2차산업혁명 세대가 고리타분한 권위의식으로 4차산업혁명 세대의 대중을 통제할 수 없는 세상이 됐다. 정보와 네트워크로 무장한 4차산업세대는 구세대의 규범과 권위를 부정한다. 조현아, 조현민 두 자매는 자기 세대의 규범에서 벗어나 아버지 세대의 규범에 갇혀있다가 불행을 자초했다. 슈퍼네트워킹 사회의 새규범을 만들고 있는 신세대의 분노는 잔인하다. 보수정치를 궤멸시켰다. 규범의 전환을 예고한 경고장이었다. 진보정치, 진보시민사회단체도 권위적 규범에 연루된 혐의가 확인되면 똑같이 당한다. "그래서 우리는 망했다"는 절규는 자유한국당의 몫이지만, 새 규범으로의 위치이동은 보수, 진보 모두의 과제다.대전환의 기운은 한반도 정세의 급변에서도 뚜렷하다. 마치 전례 없는 역사적 사건을 향해 특별한 우연과 인물들이 결집하는

  • [경인칼럼]'갑질' 근절책을 찾아야
    칼럼

    [경인칼럼]'갑질' 근절책을 찾아야 지면기사

    대한항공 조현민 전무 직원에 물벼락·욕설상대방의 인격을 모독하는 '언어폭력'형법상 모욕죄 해당… 처벌 가벼운게 문제직장·권력에 의한 '폭력' 차단방안 마련 시급대한항공 조현민 전무의 이른바 '물벼락 갑질'로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조 전무는 대한항공 광고대행을 맡고 있는 한 업체와의 회의 자리에서 광고팀장인 직원에게 자신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을 못하자 분노하여 직원의 얼굴에 물을 뿌리고 욕설을 퍼붓다 못해, 나중에는 직원을 회의장에서 쫓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조현민 전무는 2014년 이륙 중이던 기내에서 땅콩서비스에 불만을 품고 난동을 부린 혐의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대한한공 조현아 부사장의 친동생이어서 여론의 화살은 대한항공 총수 일가 전체로 향하고 있다. '갑질'이란 신조어는 피해자의 인격을 모독하고 파괴하는 범죄행위에 비해 가벼운 느낌을 주는 말이다. 아마도 '갑질'이 계약서 상의 '갑'과 '을'에서 비롯된 일종의 비유어이기 때문일 것이다. 외국 언론사들도 한국 재벌가의 '갑질'에 해당하는 번역어를 찾지 못한 탓인지 'gapjil'이라는 우리말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말의 세계화 가운데 부끄러운 사례가 될 모양이다.'갑질'의 본질은 언어폭력으로 나타난다. 언어폭력은 욕설이나 인격모독적인 조롱으로 나타나지만 성차별적 발언이나 인사상의 협박을 당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자들에게 굴욕감과 깊은 상처를 남긴다. 피해자들은 조직 내의 하급자이기 때문에 2차 피해를 당할 수도 있다. '땅콩회항' 사건의 피해자였던 박창진 사무장은 사건 이후 스트레스, 신경쇠약, 공황장애 등을 진단받았고 1년여의 휴직 끝에 회사에 복귀했지만 팀장에서 일반 승무원으로 직급이 강등되고 직원들에게 따돌림을 당하는 등 2차 피해를 겪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 재벌가 임원들의 전근대적 횡포를 의미하는 '갑질'이라는 말, 그리고 갑질의 전형적 사례인 '땅콩회항'이나 '물벼락 갑질'이라는 표현은 사태의 본질을 희화화하는 듯해서 마뜩치 않다. 근본 원인은 기업과 직원들을 자신의 소

  • [경인칼럼]인천의 색(色)
    칼럼

    [경인칼럼]인천의 색(色) 지면기사

    정서진 석양·강화 갯벌색 등 10가지 색 모호하고 선명치 않고 창의성도 없어도시정체성 색으로 표현 고무적 불구시민 대표할 역할 할 수 있을지 생각해야뉴욕은 '노랑'이다. 맨해튼 차도를 가득 메운 노란색 택시 '크라운빅토리'는 수많은 영화에서 뉴욕을 상징한다. '섹스 앤 더 시티(Sex and the City)'에서 캐리는 늘 노란색 택시를 타고 다닌다. 맨해튼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사랑이야기를 담은 '뉴욕, 아이 러브 유(New York, I love you)'는 노란색 택시에 뉴요커 두 남자가 좌우의 문으로 동시승차하면서 시작된다. 뉴욕은 '빨강'이다. 1969년 버지니아 주의 관광슬로건 '연인들을 위한 버지니아(Virginia is for Lovers)'에서 힌트를 얻은 빨간 하트의 'I♥NY'은 가장 성공한 도시브랜드다. 뉴욕의 애칭 '빅애플(Big Apple)'에서 직관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색상 또한 빨강이다. 기념품 티셔츠나 머그잔에 선명한 빨간색 사과는 이 도시를 추억하는 강렬한 이미지다.그러나 뉴욕의 공식 색상은 노랑도 빨강도 아니다. 뉴욕시 깃발에 사용되는 색은 파랑과 오렌지색이다. 파란색은 페이스북 로고에 사용되는 이른바 '페이스북 블루'에 가깝다. 오렌지색은 네덜란드의 흔적이다. 1648년 에스파냐로부터 네덜란드의 독립을 이끈 지도자 빌렘 1세는 '오라녜 공작(Prins van Oranje)'으로 불렸던 인물이다. 영어로 말하자면 '오렌지 공작(Prince of Orange)'이다. 예서 유래된 오렌지색은 이후 네덜란드인이 가장 사랑하는 색상이 됐다. 뉴욕은 원래 이들 네덜란드인들이 맨해튼섬을 원주민들로부터 사들여 '뉴암스테르담'이라고 이름붙인 곳이었다. 깃발의 색상은 그런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피츠버그는 '아즈텍 골드(Aztec Gold)' 색상으로 유명하다. 교각을 갖춘 정식 교량만 400개가 넘는 이 도시에서 특히 유명한 세 개의 다리 '쓰리 시스터즈(Three Sisters)'는 13세기 아즈텍문명을 연상시키는 빛바랜 금색

  • [경인칼럼]헛발질 미세먼지대책
    칼럼

    [경인칼럼]헛발질 미세먼지대책 지면기사

    국내 대기오염 결정적 요인 '중국 공해'다 아는 사실 정부는 애써 '외면'싱가포르, 연무 시달리자 인도네시아 압박우리도 '적극적 환경외교' 촉구한다우리 국민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다. 지난 2월 27일 환경재단 심포지엄에서 다음소프트가 국민들의 환경건강부문 '사회관심 키워드'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발표했는데 미세먼지는 2013년 13위에서 2015년에는 6위로 급상승했다가 2016년부터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한 것이다. 미세먼지가 어린 자녀들에게 미칠 부정적 영향 때문에 해외이민을 고려 중인 학부모들도 급증하는 추세이다. 국내의 미세먼지 농도와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악의 수준이다. 미국의 비영리 민간 환경단체인 '보건영향연구소(HEI)' 자료에 따르면 인구가중치를 반영한 한국의 미세먼지 농도는 1990년에는 26으로 당시 OECD 평균치(17)보다 훨씬 높았다. 그런데 강산이 두 번이나 변한 후인 2015년의 OECD 평균치는 15로 낮아졌으나 한국은 29로 더 높아졌다. 한국은 터키와 함께 OECD 35개 회원국들 중에서 공기가 가장 나쁘다. 건강에 매우 유해한 오존 농도 또한 같은 기간 OECD 평균치는 떨어진 반면에 한국은 더욱 높아졌다. OCED 오존농도 순위는 바닥에서 네 번째로 중국보다 못하다.정부는 2005년부터 2024년까지 2차례에 걸쳐 10년 단위의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추진 중이다. 수십조 원 가량의 혈세를 투입해서 대도시의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등을 파리나 도쿄 같은 선진국 도시수준으로 높이기로 했다. 매연과 비산먼지 과다배출 사업장 단속과 차량의 배출허용기준 강화, 저공해 차량 보급, 경유차 배출저감 장치 부착 등을 지속 추진한 것이다. 그 결과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2004년 59에서 2012년에는 41로 감소하다 2013년부터 증가세로 돌아 2016년에는 48로 다시 높아졌다. 지난해 6월 한 달 동안 시범적으로 추진한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중지' 조치로 미세먼지 농도는 평년대비 1

  • [경인칼럼]'실질적' 민주주의와 개헌
    칼럼

    [경인칼럼]'실질적' 민주주의와 개헌 지면기사

    노동·복지등 사회적 평등 지향성 담아내야권력구조, 순수대통령제로 변화 고민 필요여야, 의미있는 권력분산 위한 정치력 절실헌정사를 보면 1948년 헌법이 제정되고, 1952년의 발췌개헌, 1954년 사사오입 개헌, 1960년의 내각제 개헌을 거쳐 삼선개헌과 유신헌법, 1980년의 7년 단임의 선거인단에 의한 대통령 간선제, 1987년 형식적 민주화로 상징되는 개헌 등 총 아홉 차례의 개헌이 있었다. 그러나 4·19 혁명의 결과인 3차 개헌과 6월 항쟁의 산물로서 국민의 열망이 반영된 9차 개헌을 제외하고는 정당과 주권자의 참여가 배제된 개헌으로 점철되어 있다. 권력구조의 변경이 독재자의 권력욕구와 권위주의 체제의 지속을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권위주의적 방법을 통하여 정치권력에 의해 국민에게 강제로 부과되었던 개헌이었다.1987년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한 헌법 개정은 최소정의적 민주주의를 여는 단초로서 주기적이고 공정한 선거를 정착시켰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절차적'인 민주화였다. '절차적' 민주주의는 '실질적' 민주주의로 이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개헌의 골자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우선 노동과 복지 등에서 사회적 평등을 지향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완성시켜 나가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 최소정의적 접근에서의 민주화는 실질적 민주화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경제적 양극화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이를 통한 평등의 실현 등의 실질적 내용의 민주주의를 위하여는 민주주의의 제도화가 절실하였다. 그러나 제도화는 지체되었다. 제도화의 요체는 정치학자 필립 슈미터의 말처럼 민주화와 헌법화이다. 민주화는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인 참여·대표·책임의 구조를 통한 사회적 갈등과 균열의 반영이다. 헌법은 결국 민주주의의 문제다. 이는 결국 정치의 문제로 집약된다. 따라서 이번 개헌에서 평등의 실현이라는 가치의 구현은 권력구조의 변경 못지 않게 중요하다.둘째, 헌법 개정의 핵심은 권력구조다. 한국 대통령제는 내각제적 요소와 절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통령의 법률안 제출권, 국무

  • [경인칼럼]보수 재건이 절실한 이유
    칼럼

    [경인칼럼]보수 재건이 절실한 이유 지면기사

    한국보수는 현재 '죽은 나무' 재기 힘들듯합리적 세력 뭉쳐 과거와 완전 결별해야새 정강정책·인재로 재건위한 전략 필요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76% 이상의 지지로 재선에 성공했다. 총리 시절을 포함하면 무려 24년을 집권하게 된다. 우리가 역사에 독재자로 새겨넣은 박정희도 20년 집권에 이르지 못한 점을 감안하면 국민 저항이 미미한 러시아의 정치 풍경은 낯설다. 중국도 개헌을 통해 시진핑 주석의 장기집권 가도를 열어 놓았다. 재외 중국인과 지식층을 중심으로 반발이 있지만 저항 대신 조롱 수준으로 울분을 푸는 정도다. 푸틴과 시진핑의 장기집권 추구는 높은 경제 성장률과 초강대국 재건에 대한 대중의 지지와 두 사람의 강력한 지도력이 상승작용을 한 덕분이다.다만 양국 지도자의 독재적 장기집권을 대중들이 무한정 인내할지는 확신할 수 없다. 다만 역사는 정답을 알고 있다. 문명국의 역사는 1인, 1당 독재정권이 필연적으로 부패하고 순수한 권력의지가 시간에 의해 침식되면서 결국 자유의지로 무장한 대중에 의해 전복된 무수한 사례를 적시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부마항쟁, 5·18 광주민주화운동, 6·10항쟁 정신을 새 헌법 전문에 추가하자는 이유도 독재 필멸의 역사법칙을 더욱 선명하게 인식하자는 의도일 것이다.지금 대한민국의 정치 지형을 두 나라에 빗대는 것은 무리인 줄 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한 지 1년이 안됐고, 진보진영의 독주도 진영 자체의 도덕적 장점, 정치적 업적, 경제적 성취 보다는 보수진영의 한 없는 추락 덕분이라서다. 문제는 진보의 독주와 보수의 재기불능이라는 현상이 심화되면서 진보의 자만과 보수의 자포자기 심리가 굳어지는 양상이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 안팎에서 진보의 장기집권을 위한 플랜과 전략이 거론되고, 진보성향의 누리꾼들은 진보의 장기집권을 위해 보수의 싹을 잘라야 한다는 공세의 전위가 된지 오래다. 반면 보수진영은 대의정당의 무기력과 유력 대변자가 고갈된 현실에 환멸을 느끼며 침묵하거나 냉소하며 가치 상실의 세월을 보내고 있다.물론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여서 1당 장

  • [경인칼럼]장소성 회복의 첩경
    칼럼

    [경인칼럼]장소성 회복의 첩경 지면기사

    '변질된 공간' 시민 접근 가능한 영역으로 재생즉물적 발상은 '복고심리 자극' 일회성에 불과진정한 기억, 장소가 겪은 고통·시련 되살려야 장소성의 회복은 도시재생과 마을만들기 사업 도시와 지역혁신 사업에서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장소성(placeness)란 장소가 갖고 있다고 여기는 고유한 성격이나 분위기, 혹은 사람들이 느끼는 독특한 감정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지역이나 건축물을 가리키는데 '공간(space)'이나 '장소(place)'라는 말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으나 그 어감은 대조적이다. '장소'라는 말은 오래된 성터나 고향 마을과 같은 곳을 환기한다면, '공간'은 현대적인 건축의 내부나 합리적으로 구획된 영역, 혹은 신화 속의 환상적 배경 등을 가리킨다. '장소'는 낯익고 정겨운 곳으로 받아들이지만 '공간'은 낯선 곳으로 여긴다. 공간과 장소의 차이는 단순히 심리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한 영역의 소유나 점유방식, 기능상의 특성과 관련되는 것이다.장소는 마을의 빨래터나 실개천에 놓인 징검다리처럼 구체적이며 주변의 다른 장소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도 분명하다. 그만큼 투명하고 가시적이다. 장소와 관련된 기억은 상대적으로 밝고 긍정적인 것들이다. 장소는 비교적 좁은 면적을 차지하며 한 점으로 수렴되는 양상을 띠고 있어 아늑하고 친근한 곳으로 체험된다. 장소는 주체의 특수한 기억이 아로새겨져 있지만 대체로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함께 공유하는 곳이다.공간은 대학의 강의실이나 호텔의 객실과 같은 곳이다. 특정한 목적을 위해 규칙적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고유성이 없는 숫자나 기호로 구분된다. 공간은 특정한 기능을 위해 만들어진 영역이므로 주체의 행위를 은연중 강요한다. 자동차는 도로 위에 올라서면 달려야 하고 교실은 공부하는 곳이고 공장은 제품을 만드는 곳이며 미술관에 들어서면 '진지하게' 그림을 감상해야 한다. 공간은 기능 때문에 더 규격화되고 균질적으로 바뀌며 거대한 아파트 단지처럼 사람들에겐 정서적으로는 더 낯선 곳이 된다.근대 이후의 사회적 변화는 산업화와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