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수요광장

칼럼니스트 전체 보기
  • 부엌의 온기가 사라지고 있다

    부엌의 온기가 사라지고 있다 지면기사

    [경인일보=]인간의 거주 공간 가운데 가장 신성한 곳은 서재나 침실이 아니라 부엌이다. 부엌은 기원전의 철학자 엠페도클레스(Empedocles)가 말했던 물질의 기본 원소가 무궁무진한 경우의 수로 결합하는 연금술의 공간이다. 음식의 다양한 재료들은 물, 불, 공기와 더불어 반죽되고 끓여지고 발효함으로써 전혀 새로운 형태와 맛으로 재탄생된다. 흙에서 자란 것과 물에서 자란 것이 서로 만나고, 쓰고 맵고 짜고 시고 단 것들이 서로 어우러져 기묘한 맛으로 변화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질적인 것들이 순식간에 조화를 이루는 부엌은 인간이 거주하는 곳 가운데 가장 독특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이질적인 재료들을 서로 합쳐 조화로운 음식으로 탈바꿈 시키는 것은 다름 아닌 사람이다. 부엌에 들어선 사람은 풍부한 상상력과 감각과 정성을 가지고 재료를 다루어야만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낼 수 있다. 특히 정성이 많이 들어간 음식일수록 그 맛이 깊다. 어머니의 손맛이 맛 중의 맛이라고 말하는 까닭은 정성 때문이다. 거기에는 음식을 나누어 먹을 사람들에 대한 사랑과 존중과 건강에 대한 염려가 담겨 있다. 그런 의미에서 어머니의 부엌은 가족의 몸과 마음을 지켜내는 약제실이다.사람들이 가장 행복해하는 순간은 아마 맛있는 음식을 함께 나눌 때일 것이다. 음식을 나누는 순간에는 즐거움과 휴식과 정감이 함께 있다. 싸움을 한 사람들은 함께 밥을 먹지 않는다. 아니 함께 밥을 먹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수저를 놀리는 손길이 어색해지고 마주한 얼굴을 보는 것이 곤혹스러워지기 때문이다. 천하의 산해진미도 모래를 씹는 듯 변질되고 만다. 관계가 어그러지면 밥상도 치워야 하는 것이다.그런 의미에서 음식은 관계의 회로를 돈독히 하는 매개이다. 가장 맛있는 음식은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떠올리게 한다. 맛의 쾌락을 함께 나누고 싶은 욕망 때문이다. 요리를 하는 사람은 요리 하기 전에 누구와 이것을 먹을 것인가를 생각한다. 상대가 싫어하는 것을 감안하면서 요리에 넣을 것과 뺄 것을 정한다. 그 마음이 훌륭한 밥상을 완성하는 것이다.그런데 요즘 우리